반응형
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높은 바이러스 감염병으로, 고열과 발진 등의 증상을 일으킵니다. 홍역은 MMR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으며, 국내에서는 12~15개월과 4~6세에 각각 1회 접종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 홍역의 증상과 예방접종 시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홍역의 증상
홍역은 홍역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7~14일의 잠복기를 거친 후 증상이 나타납니다.
- 전열기: 홍역 환자의 대부분은 38도 이상의 고열이 나타납니다. 고열은 3~4일 동안 지속되며, 발진이 나타나기 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입니다.
- 기침, 콧물, 결막염: 홍역 환자의 약 90% 이상은 기침, 콧물, 결막염 등의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입니다. 이러한 증상은 고열과 함께 발진이 나타나기 2~4일 전부터 시작됩니다.
- Koplik 반점: 홍역 환자의 약 60% 정도는 구강 내에 작고 흰색의 반점이 나타납니다. 이러한 반점은 발진이 나타나기 1~2일 전부터 보이며, 쌀알 크기의 흰색 점이 붉은 반경에 둘러싸인 모양입니다. Koplik 반점은 홍역의 특징적인 증상으로, 홍역의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.
- 발진: 홍역 환자의 거의 모든 사람에게 발진이 나타납니다. 발진은 얼굴에서 시작하여 목, 가슴, 등, 팔, 다리 등으로 퍼져나갑니다. 발진은 작고 붉은 반점으로, 서로 겹치거나 합쳐지기도 합니다. 발진은 3~5일 동안 지속되며, 나타난 순서와 반대로 사라집니다.
반응형
홍역의 예방접종 시기
홍역은 MMR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. MMR 백신은 홍역, 유행성이하선염, 풍진을 동시에 예방하는 백신으로, 생백신입니다.
연령 | 과거 MMR 접종 횟수 | 접종 시기 |
생후 12~15개월 | 없음 | 1차 접종 |
만 4~6세 | 1회 | 2차 접종 |
청소년 및 성인 | 없음 | 1회 접종 |
1968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 | 1회 | 2차 접종 |
MMR 백신은 1차 접종 시 93%, 2차 접종 시 97% 이상의 홍역 예방 효과가 있습니다. MMR 백신은 임신부나 면역저하자에게는 접종할 수 없습니다. MMR 백신 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 통증, 발열, 발진 등의 이상 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나, 대부분 가벼운 증상이며 자연 치유됩니다.
홍역의 예방과 치료
홍역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으므로, 예방이 가장 중요합니다.
- MMR 백신을 권장 접종 일정에 따라 접종하십시오.
- 홍역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십시오. 홍역 환자가 있는 곳에 방문하거나 여행할 경우, 마스크를 착용하고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십시오.
- 비타민 A가 결핍되지 않도록 충분히 섭취하십시오. 비타민 A가 결핍된 경우 홍역의 증상이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.
- 홍역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십시오. 홍역은 발진이 나타나고 4일까지 호흡기 격리가 필요한 질환입니다. 홍역 환자는 발견 즉시부터 발진 발생 후 4일까지 등교나 외출을 중지하십시오.
예방접종도우미
홍역 홍역은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급성 발진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전염성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감염병입니다. 이전에는 소아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한 질병이었지만 백신이 개발된
nip.kdca.go.kr
홍역은 예방접종으로 퇴치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. 홍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예방접종의 중요성을 알리고, 홍역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홍역으로부터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. 감사합니다.
반응형